게임 개발자 여러분, 안녕하세요! 10분 콘테스트가 열린다는 소식을 들었어요. 이 글이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, 짧은 시간 안에 강렬한 인상을 주는 게임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몇 가지 팁을 공유해볼게요.
들어가기에 앞서
여러분도 게임을 많이 해보셨겠지만, 초반 몇 분이 게임의 성공 여부를 가르는 중요한 시간이라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. 게임 초반이란 게임을 접한 후 다운을 받고 접속하여 튜토리얼, 인트로를 거쳐 게임에 익숙해지는 기간이라고 생각해요. 보통 이 기간은 1주일 ~ 1달 정도라고 생각하며 이때 많은 게임들은 접속 이벤트를 하여 유저를 게임에 흥미를 최대한 느낄 수 있도록 해요. 이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유저의 흥미를 끌 수 있습니다. 이제,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살펴볼게요!
게임 알려주기
게임 디자인을 잘 반영한 게임 명칭
- 이름을 들으면 유저는 게임을 다운받거나 플레이하기 전에 어느 정도 게임을 예상하게 되요. 게임의 분위기나 플레이 방식과 같은 것들을요. 따라서 게임 명칭은 게임의 분위기를 잘 반영하고 있는 낱말이나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해요.
- 또한, 예시 사진이나 플레이 영상을 통해 게임 전체를 간략히 요약하는 것도 좋아요. 사진은 게임을 대표하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선택하고, 영상은 1분 이내의 소개가 효과적이에요.
- 게임을 시작할 때 유저에게 게임의 목적이나 주요 스토리를 알려주는 것이 중요해요
- 이를 위해 나레이션으로 설명하거나 주요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대화하는 형식을 사용할 수 있어요. 노력과 시간이 많이 필요하지만 씨네마틱이나 인트로 영상을 통해 스토리를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에요.
- 게임의 기본적인 시스템이나 플레이 방법을 유저에게 알려주는 것도 중요해요
- 각 기능을 2~3번 반복해 사용법을 숙지시키는 것이 좋아요. 그리고 다른 시스템과 엮여서 활용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하도록 한다면 좀 더 쉽게 적응해요.
- 유저가 게임을 스스로 탐색하고 배우도록 유도하세요. 필요하지 않은 행동을 강요하면 유저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요.
- 기본 기능만 강조하여 유저가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해요.
- 게임의 초반 플레이를 위해 기본적인 캐릭터나 설정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요.
- 이를 통해 유저가 쉽고 재미있게 게임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.
- 캐릭터가 필요없는 게임이라면 기본 시스템을 잘 설명하는 컨텐츠를 제공해요
- 예를 들어 League Of Legent의 튜토리얼에서는 미스포츈 , 오버워치 튜토리얼에서는 솔져 지급해요.
- 게임 속에 숨겨진 요소를 추가하여 유저의 호기심을 자극해요.
- 유저가 몰입할 수 있는 강렬한 스토리 소재를 사용하여 게임에 대한 흥미를 유발해요.
- 간단한 화면 흔들림 효과나 피 튀김 효과, 사운드 등을 추가하여 게임의 몰입감을 높혀요.
- 제작자가 의도한 재미를 유저가 못 느꼈다면 보상과 같은 것들로 흥미를 느끼게 할 수 있어요
- 접속 이벤트나 초기 보상 시스템을 통해 접속을 유도해 보는 것도 좋아요
- 어런 보상은 제작자가 의도한 목표까지 유저를 인도해 주는 기능을 할 수 있어요
게임 플레이 목적 알려주기
스토리 알려주기
유저 행동 제한을 최소화
자유로운 탐색
컨셉이 좋고 기본 시스템을 갖춘 캐릭터
임펙트를 줄 수 있는 요소
궁금증 유발하기
이스터 에그 추가
시각적 및 오디오적 요소
매력적인 보상
끝으로
게임 초반에 유저의 관심을 끌기 위해 다양한 요소들을 조합하는 것이 중요해요. 각 게임의 특성에 맞춰 최적의 접근법을 찾으세요. 예를들어 RPG 게임에서는 강력한 스토리 라인과 매력적인 캐릭터를, 퍼즐 게임에서는 간단하면서도 중독성 있는 메커니즘을 강조해보세요. 이 전략들을 활용하여 여러분의 게임이 유저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고 성공적인 게임이 되기를 바랍니다. 행복한 개발 되세요!